부동산 정보/부동산 서식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작성방법, 무료양식서식 다운로드

코지 사랑 2023. 11. 27. 07:32

 

 

부동산 임대차 계약 전세 또는 월세계약을 하고 나면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주택임대차계약신고를 해야 합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는 의무사항으로
신고의무사항을 위반하게 되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현재는 제도 계고기간으로 21년 6월~24년 5월까지
과태료 부과 유예를 하고 있습니다.
 
주택임대차계약 신고를 하려면 주택임대차계약 신고서가 있어야 합니다. 
주택 임대차계약 신고서 서식을 무료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준비했습니다.
작성 방법도 간단히 알려드릴게요.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서식이 필요하신 분은 위에 링크를 이용해서 다운로드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주택임대차계약 신고서 서식

주택임대차계약서 신고서 서식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서 작성 방법

주택임대차계약서신고서 작성방법은 작성된 임대차계약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① 임대인 :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전화번호
 
② 임차인 : 성명, 주민등록번호, 주소, 전화번호, 휴대전화번호
 
③ 임대목적물 현황
  - 임대차 대상인 주택의 종류에 표시
  - 주택의 종류를 모를 경우 건축물대장에 적힌 해당 주택의 용도를 참고
 
④ 소재지(주소)
  - 임대차 대상 주택의 주소
  - 구분 등기가 되어 있지 않은 다가구주택, 고시원 등의 일부를 임대한 경우에도 동·층·호를 적습니다.
 
⑤ 임대면적
  - 집합건축물은 전용면적
  - 그 밖의 건축물은 연면적
  - 건축물 전체가 아닌 일부를 임대하는 경우에는 임대차 계약 대상 면적만 적고, 해당 면적을 모를 경우에는 방의 수(칸)를 적습니다.
 
⑥⑦ 신규, 갱신
  - 신고하는 주택 임대차 계약이 신규, 갱신 계약 중 해당하는 것에 표시
  - 보증금 또는 월세 금액을 각각의 란에 적습니다.
  - 임대차 계약 기간과 계약 체결일도 각각의 란에 적습니다.
 
⑧ 갱신 계약인 경우 임차인이 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했는지를 "행사" 또는 "미행사"에 해당 사항에 체크합니다.
 
※ 같은 임대인과 임차인이 소재지가 다른 다수의 주택에 대한 임대차 계약을 일괄하여 체결한 경우에도 임대 목적별로 각각 주택 임대차 신고서를 작성해 제출해야 합니다.
 

 

주택임대차계약신고 작성을 마무리하며

주택임대차계약신고는 의무사항으로 계약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관할 주소지 동사무소에 신고해야 합니다.
현재는 제도 계도기간이라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지만 (21년 6월~24년 5월까지) 이 기간이 지나면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미리 신고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