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추운 겨울철
꾸준히 운동하기 힘든 계절입니다.
겨울철 야외 운동을 위해서는
몇 가지 수칙을 잘 지켜
건강한 운동을 해야 합니다.
오늘은 겨울철 야외운동을
잘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추위에 몸 굳는 겨울, 살찌지 않으려면 '이렇게' 운동하세요.
건강을 관리하려면
일 년 내내 꾸준히 운동해야 하지만,
겨울만 되면 마음이 약해집니다.
바깥에 가만히 서 있기만 해도
추위에 온몸이 굳어버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겨울에도 몇 가지 수칙만 잘 지키면
야외 운동을 할 수 있습니다.
겨울엔 해가 뜬 후에 운동하는 게 좋습니다.
오전 10시부터 낮 12시 사이가
운동하기 적합한 시간입니다.
새벽에 운동하면 춥기도 하지만
호흡기에도 해롭습니다.
대기 중 탄산가스 농도가
가장 짙은 때가 새벽이라서입니다.
나뭇잎이 다 떨어지는 겨울은
식물의 대기 정화 능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화석연료가 연소될 때 발생하는
아황산가스는 공기보다 무거워
차나 사람의 움직임이 없는 밤, 새벽이 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됩니다.
이에 새벽에 운동하면
찬 공기와 함께 아황산가스를
들이마실 위험이 있습니다.
운동할 땐 보온에 신경 써야 합니다.
땀 흡수와 통풍이 잘되는
얇은 옷을 여러 겹 입고,
가장 위에 방풍복을 입는 게 좋습니다.
운동하다 더위를 느껴 외투를 벗었다간
체온이 급격히 떨어지며
감기에 걸리기 쉬우니 주의해야 합니다.
본 운동만큼이나 준비운동과 정리운동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기온이 낮을수록 준비운동을
오래 하는 게 원칙입니다.
몸이 충분히 풀리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높은 강도의 운동을 하면
다칠 위험이 큽니다.
실외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겨울엔
집안에서 5분 정도 충분히 스트레칭을 하고,
나가서 5~10분 정도 준비운동을
더 하는 게 바람직합니다.
그렇다면 본 운동은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계절보다 약한 강도로 운동하되,
운동 시간을 늘리도록 합니다.
빠르게 10분 달리기보다,
빨리 걷기를 30분 하는 게
운동 효과도 크고 사고 예방에도 좋습니다.
운동을 시작한 지 5분 후에
1분간 맥박수를 재서,
최대맥박수(200-본인나이)의
60~85%에 도달하는 정도면
적당한 강도입니다.
겨울에는 심장과 폐를 단련하는
유산소 운동과 근육을 강화하는 근력운동을
적절히 배합하는 게 좋습니다.
다만, 고혈압 환자라면 운동할 때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고혈압 환자는 여름보다 겨울에
혈압이 더 오르게 됩니다.
이 상태에서 바깥의 찬 공기에 노출되면
혈관이 급격히 수축하고,
혈압이 상승해 뇌출혈 발생 위험이 커집니다.
무거운 중량을 들어 올리는 등
강한 힘을 발휘해야 하는 운동은
삼가는 게 좋습니다.
천식 환자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찬 공기는 천식을 악화시키므로
실외보다는 실내에서 운동해야 합니다.
노약자는 이른 새벽을 피하고,
오후의 따뜻한 시간대에 운동해야 합니다.
너무 춥거나 길이 미끄러울 땐
낙상 사고 위험이 있으니
밖에 나가지 말고
실내에서 몸을 움직이는 것이 좋습니다.
헬스조선
이해림 기자
'다이어트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겨울철 어깨 통증이 심해지는 어깨 질환 알아보기 (9) | 2024.01.03 |
---|---|
겨울만 되면 잠자기 전 다리 불편이 심해지는 다리하지불안증후군 (11) | 2024.01.01 |
급찐살 다이어트, 홍진경도 추천하는 방법은? (10) | 2023.12.30 |
역류성 식도염 예방하는 방법 (8) | 2023.12.29 |
귤 많이 먹으면 손과 발바닥, 얼굴이 노래질까? (5) | 202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