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진행성 위암 환자의 항생제 사용은
면역 항암제 치료 효과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연세암병원은 정민규, 김창곤 위암센터 교수 연구팀과
정희철 강남세브란스 병원 종양내과 교수등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셀 리포츠 메디신'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오늘은 이와 같은 내용으로
면역 항생제 치료 전 항생제 사용은
위암 치료 효과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면역 항암제 치료 전 항생제 사용, 위암 치료 효과 떨어뜨려
진행성 위암 환자가
면역항암제 치료를 받기 전
항생제에 노출되면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각각 65%, 55%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암 발병률은 아시아에서 특히 높습니다.
한국에서는 2020년 국가암등록통계 기준
발병 4위(10.8%)를 기록했습니다.
위암이 위험한 이유는 발병 초기에
발견하지 못한 진행성 위암이거나
재발 위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10% 내외로
예후가 매우 나쁘기 때문입니다.
최근 위암 치료를 위한 옵디보, 키트루다 등
면역 항암제가 개발되면서
환자들에게 사용할 수 있는 치료 옵션과
위암 환자의 전체적인 생존율이 증가했습니다.
하지만 면역 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한 연구가 부족해
환자들의 특성을 고려해 적절한 치료법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연구팀은 2014년 1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연세암병원과 강남세브란스병원에서
면역 항암제를 투약받은
진행성 위암 환자 253명을 대상으로
치료 성적을 분석하고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분석했습니다.
분석 결과 면역 항암제를 투약받기 전 28일 이내에
항생제에 노출된 환자들은 무진행 생존율과
전체 생존율이 항생제에 노출되지 않은 환자군에 비해
각각 65%, 55% 낮았습니다.
세포독성 항암제를 투약받은 환자들에게는
투약 전 28일 이내에 항생제 노출과
치료 성적이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환자들의 혈액과 분변 시료를 분석한 결과,
면역 항암제 투약 이전 항생제에 노출된 환자군에서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 감소와 암세포에 대항하는 T세포
기능 저하가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이를 통해 장내 미생물총의 다양성과
순환 T세포의 기능 저하 정도가 면역 항암제 투약에 따른
치료 효과와 생존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임을 규명했습니다.
정민규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위암 환자의
면역 항암제 치료 전 항생제 노출력이 치료 성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했다"며
"향후 환자 치료에 있어 개인 특성을 고려해
보다 향상된 치료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동아사이언스
박정연 기자
'다이어트와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무 꾸준히 먹었더니... 소화-체중에 변화가? (6) | 2024.01.13 |
---|---|
여성 몸 노화에 대한 3가지 오해... 폐경되면 성욕 떨어져? (5) | 2024.01.12 |
연예인 다이어트, 강남 3달 만에 13kg 감량한 키토 다이어트 (11) | 2024.01.07 |
양치질 귀찮은데 구강청결제로 대신하면? (10) | 2024.01.06 |
겨울 장염 '노로바이러스감염증'2배 증가... 증상 예방법은? (11) | 2024.01.04 |